전주시, 생활밀착형 복지 ‘강화’ 완주-전주 상생발전 비전 발표

  • 등록 2025.05.22 15:14:57
크게보기

완주 중심 총괄 보건소 지정안, 노인복지 투자 계획안, 종합노인복지관 선립 포함
“완주군 내 혐오·기피시설 이전 가능성 우려”...“군민 동의 없이 이전은 불가”

 

전주시가 5번째 전주·완주 상생발전 비전으로 노인복지, 보건의료, 에너지복지를 아우르는 비전을 제시했다.

 

전주시가 완주·전주 행정통합을 염원하며 완주군에 종합노인복지관을 건립하고, 통합시 총괄 보건소를 완주군으로 정하기로 하는 등 중장기 비전을 내놓았다.

 

시와 완주·전주 상생발전 전주시민협의위원회는 22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진교훈 복지환경국장을 비롯한 담당 분야 간부공무원과 박진상 위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완주-전주 통합 염원을 담은 상생발전 비전’ 브리핑을 통해 복지분야 상생발전 비전을 제시했다.

 

5번째 완주·전주 상생발전 비전인 복지 분야는 지역 간 복지 불균형 해소와 인구구조 변화에 선제 대응을 위한 것이다. 노인복지와 보건의료, 에너지복지 등 전 세대가 직면한 핵심 과제들을 중심으로 지속 가능한 통합 복지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먼저 시는 급격한 고령화가 진행되는 지역사회의 복지 향상을 위해 125억 원을 투자해 완주군 종합노인복지관을 건립키로 했다.

 

시는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의 25%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완주군에 노인복지관을 건립하면 복지수혜의 불균형 문제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완주군에 세워질 종합노인복지관은 지하 1층~지상 3층 규모로 건설된다. 강당과 프로그램실, 작은 도서관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춰 노인들이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제공한다. 최종 부지는 주민 의견 수렴과 지역 여건을 충분히 고려해 선정할 계획이다.

 

또한 시는 급증하는 노인인구와 복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전주-완주 통합시 노인복지 예산의 연평균 증가율을 8% 이상으로 늘리기로 했다.

 

이는 전주시 노인인구는 지난 2월 말 기준 전체 인구의 18.6%(11만 8457명)를 차지하고, 완주군의 경우에도 노인인구 비율이 25% 이상을 넘어섰다. 이미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 상태여서 의료 및 돌봄 수요는 물론 높은 노인 빈곤율 해소를 위한 복지 지원의 강화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행정구역이 통합되면 전주와 완주지역의 노인인구가 함께 증가함에 따라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노인복지 지원이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었다,

 

 

이와 함께 시는 보건의료서비스 확충을 위해 통합시 총괄 보건소를 완주군으로 지정·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전주·완주 통합 이후 관련 법에 따라 3개 보건소(전주시보건소, 덕진보건소, 완주군보건소) 운영이 가능한 가운데, 시는 완주군보건소를 통합시 총괄 보건소로 지정하고 보건 업무의 중추적인 역할을 부여할 계획이다.

 

시는 통합 이후 완주군 인구 증가와 보건의료 취약계층 수요를 대비한 통합시 보건소의 필수의료 기능 확대를 위해 병원급 보건의료원으로 전환하는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동시에 시는 완주군 내 도시가스 공급 소외지역에 도시가스 배관 확대 보급을 통해 지역주민의 연료비 부담을 줄여 에너지 복지를 실현한다는 구상이다.

 

한편 시는 완주군 내 혐오·기피시설 이전 가능성 우려에 대해서는 완주군민의 동의 없이 이루어지는 이전은 불가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신현준 jjhshj22077@naver.com
Copyright @전북오늘 Corp. All rights reserved.

전주본사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현무3길 47, 조은빌딩 2층 서울사무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09 세운스퀘어 테크노관 6층 등록번호: 전북, 아00633 | 등록일 : 2024-05-31 | 발행인 : 김병묵 | 편집인 : 김상호 전화번호 : 063-232-0311 / 02-782-5510 | FAX : 063-232-0312 / 02-782-5512 Copyright @전북오늘 Corp. All rights reserved.